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프리프로덕션2

[영화]영화 예산안을 만들어보자 영화는 기술의 힘이 많이 들어가야 합니다. 오늘은 하나의 영화를 만들기 위해 예산안을 짜는 방법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단편 독립영화의 예산은 작게는 0원에서 많게는 몇천만 원 이상을 쓰기도 합니다. 예산안을 짜기 위해 우선 파악해야 하는 것은 이 영화에 얼마 정도의 돈이 들어갈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이 영화를 잘 만들기 위해서 어떤 장면이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며 거기에는 어떤 장치가 들어갈지 혹은 어떤 장소가 무조건적으로 나와야 하는지 혹은 어떤 배우가 나와야하는지 돈과 타협하지 않고 필수적으로 갖고 갈 요소들에 대해서 정리해야 합니다. 1. 프리 프로덕션 500만 원 정도를 이 영화에서 사용하겠다고 하면 우리는 이것을 단계별로 그리고 파트별로 나눠야 합니다. 보통.. 2022. 8. 1.
[영화]영화 제작의 두 번째 단계 - 제작부?연출부? 완성된 시나리오로 영화를 찍기로 결심을 했다면 이제 이 영화를 찍기 위해 필요한 사람들이 누군지 생각해야 한다. 보통 가장 기본적인 직책에 대해서 생각을 해보면 영화는 연출, 제작, 촬영, 조명, 음향, 편집 그리고 배우가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무성영화를 찍지 않는 이상 사운드는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음향장비를 통해 들어온 사운드를 쓰는 것이 아닌 촬영장비를 통해 들어온 사운드를 쓰는 방향을 택할 수도 있으니 제일 중요한 직책은 결국 연출, 촬영 그리고 배우가 되겠다. 각 직책들이 어떤 일들을 하는지 알아보도록 하자. 1. 프리프로덕션 - 제작부, 연출부가 하는 일은? 처음 영화를 만들게 되면 제작부가 하는 일이 무엇이고 연출부가 하는 일이 무엇인지 그리고 둘의 업무에 경계선이 어떤 것인지 의문점을 한.. 2022.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