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영화6

출연료 인상에 따른 제작비 문제 신문 기사를 읽던 중 뮤지컬 제작비 중 30퍼센트가 넘는 비용이 배우 캐스팅 비용으로 나간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스타는 모든 문화 콘텐츠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스타가 있고 없고에서 작품에 대한 홍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이 부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뮤지컬과 드라마입니다. 드라마의 제작과정에서 시나리오 다음 바로 주연 캐스팅을 해야 하는 이유도 결국 이 스타시스템이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1. 스타가 필요한 이유 스타는 홍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화와 드라마는 내용이 컨텐츠인 만큼 홍보를 간략한 예고편을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TV광고나 유튜브에 올라온 예고편은 예비 관객들로 하여금 이 영화를 볼지 안 볼지를 결정할 수 .. 2022. 10. 3.
[영화]스토리 보드를 만들기 위한 카메라 구도 공부1 스토리보드는 촬영을 어떻게 할 것인지 약속을 하는 것입니다. 그림을 정말 잘 그려서 전달력이 좋으면 부가 설명이 필요 없겠지만 스토리보드는 촬영 계획을 기록을 남기는 것이고 그것을 참고하여 본 촬영을 하는 것입니다. 그림이 스토리보드에 주된 구성 같아 보이지만 사실은 그림 옆에 써놓은 배우의 블로킹(액션), 대사, 촬영 구도가 핵심입니다. 촬영 구도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한 번 정리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설정샷, 긴 동선을 위한 구도 히말라야에 대한 영화를 찍기 위해선 장소에 대한 설명이 필요합니다. 제일 효율적인 방법은 가장 멀리서 모든 장소를 보여주는 방법입니다. 예전 영화에서는 헬리캠이라는 하늘에서 촬영하는 방식을 사용했습니다. 하지만 그 무게가 무겁고, 가격이 비싸며 운용 방식이 까다롭기 때.. 2022. 8. 22.
[영화] 영화 제작의 첫 단계 - 시나리오 쓰기 8편 오늘은 구조적으로 시나리오를 쓰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해보겠습니다. 흔히 구조적으로 시나리오를 쓴다고 하면 스토리텔링은 기-승-전-결 구조를 가져야 합니다. 시나리오는 말해주기(telling)이 아닌 보여주기(showing)를 중심으로 글을 써야 한다고 했습니다. 보여주기는 관객들을 설득시키기 위해 들어가는 내레이션, 독백과는 별개로 인물의 행동 묘사와 풍경(화면에 나오는 것들)을 중심으로 글을 쓰는 것을 말합니다. 기승전결의 구조를 가져야 하지만 우리는 3단계로 시나리오의 구조를 말할 수 있습니다. 저는 이 구조를 소개 - 행동- 감정의 단계라고 생각합니다. 1. 기승전결에서 기와 승을 담당하는 소개 단계 영화의 초반부 우리는 관객을 설득시키기 위해 영화 안에 장치를 마련해야 합니다. 그것이 짧게 끝나.. 2022. 7. 20.
[영화] 영화 제작의 첫 단계 - 시나리오 쓰기 7편 이제 시나리오를 본격적으로 진행해보도록 하자! 관객들을 충분히 납득시킬 수 있는 세계 그리고 캐릭터가 만들어졌다면 주인공이 이 영화 속에서 겪는 사건을 만들어야 한다. 시나리오는 수필, 소설과는 다르고 대신 희곡과 비슷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고 보는데.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는 인과에 의해 주인공을 결말로 이끌어가는 사건들이 중요하다고 보면 되겠다. 예전 희곡을 배울 때 희곡에서 주인공을 움직이는 글 적 표현은 결국 행동이다. ~하다로 정리가 되는 주인공의 모습을 희곡에 혹은 시나리오에 담아야 하는 것이다. 1. 주인공을 이끌고 가는 힘 우리가 캐릭터를 만들 때 주의해야 하는 점에 대해 다시 한번 얘기하고 넘어가자면 캐릭터를 사건에 뛰어들게 하는 힘이 필요하다는 것이다. 주인공이 힘들어서 죽을 지경이 .. 2022. 7. 18.
[영화] 영화 제작의 첫 단계 - 시나리오 쓰기 5편 오늘은 시나리오의 단위에 대해서 설명을 위한 포스팅을 해보겠습니다. 이제 시나리오 캐릭터의 설정이 어느 정도 끝이 났다면 시나리오는 구성단위를 제대로 파악하고 써야 할 것입니다. 시나리오는 제일 작은 단위인 컷/숏(cut/shot), 컷이 모여 씬(scene), 씬이 모여 시퀀스(sequence) 그리고 시퀀스가 모여 시나리오가 됩니다. 1. 컷/숏 컷과 숏은 글(편집)을 쓸 때의 단위와 촬영을 할 때의 단위에서 차이가 있지만 같은 단위, 같은 단어라고 봅니다. 카메라가 촬영을 시작한 순간부터 끝날때까지를 하나의 컷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차이가 있다면 영화를 만드는 과정을 여러 매체를 통해 경험해본 적이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카메라가 돌기 시작하면 사운드가 들어오고 슬레이트가 쳐지고 감독이 혹은 조.. 2022. 7. 14.
영화 제작의 첫 단계 - 시나리오 쓰기 1편 안녕하세요 오늘은 시나리오는 어떤 종류의 글인지에 대해서 포스팅하려고 합니다. 1. 시나리오 vs 소설 시나리오는 우리가 흔히 읽을 수 있는 소설과는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전지적 작가 시점이라는 말을 들어보신 적이 있으실 겁니다. 작가가 이야기 속 세계관에서 신이 되어 관객(독자)들에게 자신이 알려주고 싶은 모든 것에 대해 알려주는 구조를 말합니다. 지금 주인공이 어떤 상태인지, 과거에는 어떤 상태였는지 등등 이야기를 전개하기 위해 필요한 모든 지식에 대해 작가가 직접 서술합니다. 소설은 관객(독자)에게 말해주기(telling)를 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반면 영화 시나리오는 카메라로 찍은 장면을 보여주는 방식으로 제작됩니다.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철수라는 인물이 있습니다. 그는 로또에 당첨되.. 2022. 7. 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