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95 사실주의와 영화 사실주의 : Realism는 현실 그대로를 반영하려고 하는 주의를 말한다. 사실주의를 대표하는 장르는 역시 다큐멘터리 영화를 말할 수 있는데 그렇다고 해서 꼭 다큐 영화만이 사실주의인 것은 아니고 우리가 보는 현대 영화에서도 이런 경향을 따라가려는 시도를 찾아볼 수 있다. 19세기 후반부터 유행했던 사실주의는 회화 즉 미술 쪽부터 발달해온 예술을 대하는 자세라고 보면 된다. 아리스토텔레스의 시학에서는 현실을 모방하는 것이 창작을 하는 것에 있어서 힘을 만들어준다고 했지만 사실주의는 이러한 모방을 넘어 사실, 현실을 작품으로 가져오면서 스토리텔링을 하는 것이다. 1. 네오 리얼리즘 영화에서 사실주의가 붙은 사조는 역시 2차 세계대전 이후 이탈리아에서 유행했던 네오리얼리즘 영화들이다. 힘든 상황을 외면하고 .. 2022. 9. 28. 영화와 NFT NFT : Non fungible token : 대체 불가 토큰을 영화에서 주목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술품, 캐릭터와 같이 디지털 환경에서 고유의 특성을 가지면서 배포가 가능한 것들에 NFT를 통해 자신의 것임을 인증하는 모습은 많이 볼 수 있습니다. 트위터 창업자의 첫 트윗이 처음에 팔렸던 39억에서 800만 원대로 떨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NFT의 가치가 오래가지 못한다는 것을 입증하는 듯 보입니다. 영화 쪽에서도 NFT가 들어오는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대표적으로 화양연화의 비공개 클립이 이것에 해당합니다. 1분 30초 정도 되는 화양연화 첫 촬영본이었습니다. 이는 경매가 한화로 약 6억 원이 넘는 높은 금액에 거래가 됐습니다. 1. NFT의 가치는? 트위터 창업자의 첫 트윗이 39억이라는 .. 2022. 9. 27. NFT는 무엇일까? 안녕하세요 오늘은 2022년도 한예종 논술 시험 문제에 나왔던 NFT에 대해서 알아보고 NFT가 영화와 어떤 관련이 있을까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NFT는 무엇일까? NFT는 Non Fungible Token: 대체 불가능한 토큰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흔히 영상, 글, 보고서, 논문 등등 누군가의 창작물이지만 배포가 되어 있는 것들에 워터마크가 새겨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 저작물에 대한 소유권은 A한테 있으며 책임도 A한테 있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저작물의 내용을 보는 것에는 어려움이 없지만 이것을 참고해서 보는 사람들한테 저작물이 누구의 것인지 확실하게 보여주는 장치로 작용합니다. NFT는 워터마크를 디지털화해놓은 것으로 보면 됩니다. 무한히 배포되었어도 그 무한히 복제.. 2022. 9. 26. 편집 실수, 미스매치! 가끔 영화 속에서 우리는 오류들을 확인할 수 있다. 예전 유머글에서 봤던 장면인데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하는 드라마에서 조선시대에 있어서는 안 될 장면이나 소품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포커스가 나가 있지만 촬영 기자재가 떡하니 찍힌 장면이 있기도 하다. 이러한 실수는 촬영 때 나오는 촬영, 연출 실수를 말합니다. 하지만 미스 매치의 개념은 조금 다릅니다. 우리는 비가시 편집을 원칙으로 편집을 합니다. 이 원칙을 지키기 위해 매치 편집을 기본으로 합니다. 하지만 간혹 우리는 어쩔 수 없이 이 원칙을 지키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영화 편집을 배운 사람은 알 수 있지만 일반 관객들은 모르고 넘어갈 수 있는 편집, 이것을 우리는 미스 매치 편집이라고 합니다. 미스 매치는 어쩔 수 없이 컷을 사용하지만 관객들은 .. 2022. 9. 20. 이전 1 ··· 11 12 13 14 15 16 17 ··· 24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