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는 기술의 힘이 많이 들어가야 합니다.
오늘은 하나의 영화를 만들기 위해 예산안을 짜는 방법에 대해 한 번 알아보도록 합시다.
단편 독립영화의 예산은 작게는 0원에서 많게는 몇천만 원 이상을 쓰기도 합니다. 예산안을 짜기 위해 우선 파악해야 하는 것은 이 영화에 얼마 정도의 돈이 들어갈 수 있는지를 알아야 합니다. 그리고 두 번째는 이 영화를 잘 만들기 위해서 어떤 장면이 필수적으로 들어가야 하며 거기에는 어떤 장치가 들어갈지 혹은 어떤 장소가 무조건적으로 나와야 하는지 혹은 어떤 배우가 나와야하는지 돈과 타협하지 않고 필수적으로 갖고 갈 요소들에 대해서 정리해야 합니다.
1. 프리 프로덕션
500만 원 정도를 이 영화에서 사용하겠다고 하면 우리는 이것을 단계별로 그리고 파트별로 나눠야 합니다. 보통 영화 한 편을 만드는 단계를 3단계로 나눕니다. 프리 프로덕션, 프로덕션, 포스트프로덕션. 이 3단계로 나눠진 파트에 평균적으로 3:4:3 구조로 나누거나 2.5:5:2.5로 나누는 경우가 가장 보편적입니다. 인건비는 프리프로덕션단계에서 빠지는 돈입니다. 인건비를 계산하기 위해서는 각 파트별로 계약서를 써야하는데 촬영 전에 이미 어느정도 돈이 나갈지 계산이 다 되어있는 상태여야합니다. 로케이션 답사와 배우 리딩, 인쇄, 사무실비용 등등 프리프로덕션에 들어가는 모든 돈이 생각보다 많으므로 프리프로덕션 단계에서도 예산이 3에서 2.5 정도는 무조건 있어야 합니다.
2. 프로덕션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기자재 비용, 식대, 숙박, 간식, 유류비, 차량 렌털 등등 촬영 단계에서 들어가는 모든 비용을 말합니다. 전에 포스팅한 글에서 설명했듯 촬영은 일수가 늘어나게 되면 굉장히 많은 돈이 들어가게 됩니다. 한정된 제작비로 운용하는 만큼 프리 프로덕션 단계에서 촬영 일수를 최대한 압축할 수 있도록 해야 촬영 파트에서 돈이 많이 안나가게 될 것입니다. 여기 단계에서 예산안을 짜려면 내가 필요로 하는 카메라가 뭔지에 대해서 생각해봐야 합니다. 지금 현재 상업 영화판에서도 가장 잘 쓰이는 카메라는 알렉사 카메라입니다. 하지만 이 카메라는 비용이 굉장히 높고 카메라 한대로는 재기능을 하지 못합니다. 차로 예를 들면 페라리 자동차 같은 느낌입니다. 에어컨도 넣어주고 후방카메라도 넣어주고 등등 기능을 다 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보통 독립영화에서 알렉사를 쓰는 것은 비추천드립니다. 매뉴얼도 굉장히 어렵고 이 카메라를 온전하게 다룰 수 있는 카메라 감독은 인건비도 높습니다. 500만 원 이하의 예산에서는 소니와 캐논 카메라 혹은 블랙매직 시리즈를 추천드리겠습니다. 레드나 알렉사와 같은 카메라들은 무게도 무거워 촬영 인원이 일반 카메라에 비해 배로 필요합니다. 카메라나 기자재 비용과 관련해서는 공모전도 꽤 많이 있습니다. 자신이 어떤 카메라를 쓸 것인지 공부하고 선택하여 예산안에 맞게 진행해야 할 것입니다.
3. 포스트 포로덕션
포스트 프로덕션 단계에서는 편집, 색보정, CG, 폴리(사운드), 배급, 홍보에 들어가는 비용을 뜻합니다. 몇몇 편집들은 일반적으로 할 수 없는 경우가 많아 기술자들이 필요로 하며 그 편집들을 전문적으로 할 수 있는 컴퓨터도 필요로 합니다. 포스트 프로덕션 또한 비용이 3 아니면 2.5 정도는 생각해야 합니다. 사운드에 대해 가볍게 생각하고 넘어가지 않도록 합시다. 후시녹음이나 폴리 사운드를 제작하거나 음악을 작곡하는 경우 전문 스튜디오나 녹음실이 꼭 필요하게 됩니다. 방음이 되지 않으면 되려 현장에서 찍은 촬영본과 사운드가 맞지 않습니다. 촬영 편집만큼이나 중요한 게 사운드라는 것을 인지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3단계에 걸쳐 예산안을 대략적으로 짜는 방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제 다음부터 본격적으로 예산안을 한 번 맞춰보도록 합시다.
'영화를 사랑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영화의 위기 (0) | 2022.08.05 |
---|---|
[영화] 독립 영화, 내 예산에 맞게 카메라 고르기 (0) | 2022.08.03 |
[영화]영화 제작의 두 번째 단계 - 제작부?연출부? (0) | 2022.07.29 |
[영화] 영화 제작의 첫 단계 - 시나리오 쓰기 10편 촬영을 위한 각색 (0) | 2022.07.27 |
[영화]티켓 값 폭등 영화 한 편에 15000원 시대 (0) | 2022.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