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은 여러 구도가 있습니다. 주로 카메라를 삼각대에 올리고 멈춘 상태에서 rec을 누르는 방식이 기본 방식이라고 한다면 카메라의 이동을 통해 촬영하는 기법들도 존재합니다. 카메라의 이동은 곧 정보의 이동, 정보의 중요도를 극대화하는 방법입니다.
1.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하고 프레임의 각도를 움직이는 방법
주로 이 방법은 삼각대에 카메라를 올리고 삼각대가 멈춘 상태에서 카메라만 움직이는 방법입니다.
팬, 틸트가 이 방법에 해당합니다.
팬은 카메라를 양옆으로 움직이는 방식이고 틸트는 카메라를 위아래로 움직이는 방식입니다.
개인적으로 카메라 패닝은 인물의 동선에 맞춰 프레임안에 인물을 더 오래 두면서 동시에 방향성을 보여주는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생각합니다.
스토리보드에서는 팬과 틸트 방향을 표기해줘야 합니다.
2. 카메라의 위치를 움직이는 방법
달리를 이용하는 방식과 핸드헬드를 통해 카메라의 구도를 잡는 방법입니다.
달리는 시간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천천히 움직이는 카메라 프레임은 관객들로 하여금 작품 속으로 부드럽게 집중할 수 있게 합니다. 달리의 트랙 길이에 따라 움직일 수 있는 길이가 다르겠지만 보통은 조금의 움직임을 주면서 배우를 배우를 가는 방향에 맞춰 볼 수 있게 합니다.
핸드헬드 방식은 카메라를 말 그대로 손에 들고 촬영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흔들림을 유도하는 방식과 흔들림 없이 촬영하는 스테디캠을 이용한 방식, rs2나 로닌과 같이 카메라를 자연스레 팬, 틸트를 하면서 핸드헬드 방식으로 촬영하는 방식 등등 자유도가 높은 촬영 방법입니다.
달리인 과 달리아웃은 프레임이 방향에 맞게 이동하는 것이므로 스토리보드에서도 달리 인이 되고 있는지 아웃이 되고 있는지 표기해야 합니다.
3. 카메라의 위치를 고정하고 카메라의 움직임도 고정하는 방법
제일 기본적인 방법입니다.
렌즈를 통해 줌 인, 줌 아웃을 하여 촬영 구도를 바꾸는 방식입니다.
기본 구도의 사이즈를 바꿀 수 있으며 이 것은 렌즈의 mm 수에 따라 최소와 최대의 범위가 있습니다. 프레임의 사이즈가 바뀌는 것이 특징으로 생각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줌 인과 줌 아웃은 스토리보드 네모 안에 다른 네모를 그려넣으므로써 사이즈의 변화를 표기해야 합니다.
'영화를 사랑합니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편집 연출에 대한 정리 - 1 (0) | 2022.09.05 |
---|---|
[영화] 촬영 전 마지막 준비 일일 촬영 계획표 (0) | 2022.08.31 |
[영화]스토리 보드를 만들기 위한 카메라 구도 공부1 (0) | 2022.08.22 |
[영화] 로케이션 잡는 방법 (0) | 2022.08.17 |
[영화]영화 제작하기 - 콘티, 스토리보드 (0) | 2022.08.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