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영화를 사랑합니다67 맥거핀 효과란 무엇일까? 오늘은 맥거핀 효과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맥거핀은 히치콕이 고안해 낸 스토리텔링에서 사용되는 장치 중 하나입니다. 용어가 처음 등장한 것은 히치콕의 에서 암호명으로 나오게 됩니다. 1. 맥거핀 효과의 뜻 맥거핀은 감독의 의도 하에 스토리에 중요한 역할을 할 거처럼 처음에 등장하지만 관객들이 눈치채지도 못하게 자연스럽게 사라지는 것을 말합니다. 알프레드 히치콕의 에서 처음 등장하는 '돈다발'이 바로 맥거핀 역할을 하게 됩니다. 관객들 입장에서 돈다발이 이 이야기에 중요한 역할을 할 거처럼 보이지만 결국 돈다발은 중반이 넘어가면서부터 사라지고 오로지 모텔에서 벌어지는 살인사건만을 다루게 됩니다. 2. 맥거핀 효과로 얻을 수 있는 것 맥거핀 효과는 영화를 볼 때 관객들에게 혼란만을 주기 위해 들어가는 것.. 2022. 10. 8. 영화가 아닌 감독을 보는 것이다 1950년대 프랑스를 시작으로 영화계에 큰 바람이 불게 됩니다. 누벨 바그, 새로운 물결이라는 뜻에 영화를 감독의 예술로 봐야 한다는 주장이었습니다. '작가주의'라는 말이 처음 유행하게 되는 시점이기도 한 이 시기는 우리가 영화를 어떻게 만들어야 하고 어떻게 봐야 하는지 방향성을 제시하게 됩니다. 1. 작가주의란? 작가는 무언가를 쓰는 사람을 말합니다. 스토리 창작의 가장 기초는 결국 이야기를 쓰는 것에 있습니다. 영화는 시나리오, 연극은 희곡 거기에 소설, 시 등등 스토리텔링은 이야기를 쓰는 것에 시작하는 것이죠. 스토리가 글로 쓰여져도 각 예술마다 나오는 결과물은 다르게 됩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영화입니다. 누벨바그는 상업적으로 공장에서 찍어져 나오는 미국 영화에 큰 반발심을 갖고 있었습니다.. 2022. 10. 7. 일본 영화의 찬란했던 그 역사 오늘은 일본 영화에 대해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전 세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던 일본 영화는 아시아에서 가장 먼저 영화가 발달한 나라였습니다. 2차 세계대전 제국주의 전범 국가 중 하나였으며 그렇기에 다른 나라들과 강대국으로서 교류를 제일 먼저 시작했고 문화적으로나 기술적으로나 먼저 발달을 했던 케이스 중 하나였죠. 한 때 동아시아 영화들을 대표했던 일본이었지만 지금은 예전만큼 높은 평가를 받지는 못하고 있습니다. 오히려 한류가 빠르게 발전하면서 최근에는 우리나라가 성적이 훨씬 더 좋아 보입니다. 다른 나라와 마찬가지로 큰 전쟁과 민주주의의 영향으로 발전하는 모습에서는 비슷한 방향처럼 보이나 다른나라와는 사뭇 차이점이 확실하게 존재합니다. 1. 일본 영화의 시작 19세기 말 영화가 처음 세상 밖으로 .. 2022. 10. 6. 영화관 음료에서 나온 플라스틱 조각 지난달 말 울산에 한 영화관에서 산 음료에 이물질이 나와 뉴스가 하나 올라왔습니다. 40대 남성이 영화관 음료를 먹고 불편함을 느껴 병원에 가니 목 안에서 혈흔을 발견했습니다. 음료 안에 녹지 않은 플라스틱 조각이 있었다고 주장했습니다만 영화관 측에서는 빨대를 꽂는 과정에서 플라스틱 조각이 음료 안으로 들어갔을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하지만 음료 컵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고 피해자는 주장하고 있습니다. 코로나 19 여파가 사그라들고 영화관을 찾는 관객들이 늘어나고 있다는 뉴스가 뜬 지 얼마 되지 않아 이런 사고가 나 유감입니다. https://news.kbs.co.kr/news/view.do?ncd=5571090&ref=A 영화관 음료 얼음에서 이물질 나와…주장 엇갈려 [앵커] 울산의 한 영화관에서 판매하.. 2022. 10. 5. 1980년대 대만 뉴웨이브 1980년대 대만영화의 언어 대만 뉴웨이브에 대해 포스팅해보겠습니다. 영화는 1895년 이후부터 시대를 대변하거나 시대에 반항하면서 성장했습니다. 기술과 예술이 함께 공존하는 만큼 영화는 빠르게 변화하는 특징을 갖고 있죠. 1900년대는 혼돈의 시대입니다. 세계대전이 두 차례나 있었고 공산주의와 자유민주주의 사이에 생긴 갈등이 있었습니다. 체제 혹은 이념의 싸움이지만 그 모든 영향을 받아 변화해야 했던 사람들은 일반 시민들이었습니다. 기술의 장족의 발전으로 영화는 대중매체로 자리 잡았으며 그렇기에 영화는 오락과 반항의 역할을 모두 수행했습니다. 대만도 마찬가지였습니다. 1980년대 이전 대만의 영화는 홍콩에 가장 지대한 영향을 받았으며 주로 반공영화나 오락영화들이 나올 뿐이었습니다. 이에 반항하여 새롭게.. 2022. 10. 4. 출연료 인상에 따른 제작비 문제 신문 기사를 읽던 중 뮤지컬 제작비 중 30퍼센트가 넘는 비용이 배우 캐스팅 비용으로 나간다는 기사를 보게 되었습니다. 스타는 모든 문화 콘텐츠에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스타가 있고 없고에서 작품에 대한 홍보가 다르기 때문입니다. 우리나라에서 이 부분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이 바로 뮤지컬과 드라마입니다. 드라마의 제작과정에서 시나리오 다음 바로 주연 캐스팅을 해야 하는 이유도 결국 이 스타시스템이 중요한 요인이기 때문입니다. 1. 스타가 필요한 이유 스타는 홍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영화와 드라마는 내용이 컨텐츠인 만큼 홍보를 간략한 예고편을 통해서 할 수 있습니다. TV광고나 유튜브에 올라온 예고편은 예비 관객들로 하여금 이 영화를 볼지 안 볼지를 결정할 수 .. 2022. 10. 3. 점프 컷 어떻게 사용해야 할까? 점프 컷은 영화를 효율적으로 편집하는 방법이다. 프랑스의 누벨바그 이후부터 영화에 점프 컷이 많이 등장하기 시작했습니다. 이전 시대에서는 동선이 이어지는 장면들에 대해 점프 컷을 하지 않고 다 보여주어야만 그 과정을 모두 볼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하다고 느껴졌지만 이제는 더 중요한 장면들을 많이 넣고, 영화가 지루해지는 틈을 없애기 위해 꼭 필요한 편집 방식이 되었습니다. 1. 시간을 점프 시간의 흐름을 다 보여주면 우리는 하나의 장면에서 낮과 밤을 모두 볼 수 없을 것입니다. 낮과 밤이 바뀌었다는 증거가 들어간 장면들을 통해 시간을 확 점프할 수 있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엄청 긴 시간을 넘어가는 점프 컷도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아이의 성장과정을 보여주는 점프 컷 방식입니다. 아빠가 아이를 위해 무언가를.. 2022. 10. 2. 표현주의 그리고 영화 공포영화의 뿌리, 표현주의 영화들에 대해서 오늘은 포스팅해보도록 하겠습니다. 1905년부터 1930년까지 독일을 시작으로 유행했던 표현주의는 예술의 한 사조입니다. 영화는 근,현대 예술로 사회, 유행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미술에서부터 시작한 표현주의는 영화에도 영향을 끼치게 됩니다. 1. 표현주의란 표현주의는 자연주의에 반항하는 예술사조로 사실적인 모습에 대한 묘사를 중심으로 생각하는 자연주의와는 달리 내면에 숨겨진 무언가 혹은 감정 혹은 추상적인 것을 표현하려고 했습니다. 사실을 묘사하고 모방한다는 것은 결국 있는 그대로를 옮기는 것에 집중을 하겠지만 표현주의는 이 개념에 반대됩니다. 그래서 형식의 파괴, 서사구조의 뒤틀림, 구도와 구성을 왜곡하고 무시하는 방식을 추구했습니다. 2. 1차세계대전과 독.. 2022. 10. 1.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반응형